Overman - Reading & Thought

돈의 속성 _ 김승호

공삼일구 Overman 2022. 12. 28. 21:19
728x90

김승호 회장님의 강연은 여러 번 본 적이 있었습니다. 부자는 자신의 재산이 얼마인지 모를 정도의 재력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 기억에 남았고, 그런가보다 대단하신 분이구나 하고 깊이 간직하지는 않았었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책에 존재에 대해 알게 되어, 이번 주에 아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돈의속성 커버

하이라이트 했던 구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 사실 리스크가 크다고 알려진 것 자체가 리스크를 줄여놓은 상태라는 걸 알아차리는 사람이 별로 없다

 

- 워런 버핏의 유명한 말이 있다. “남들이 욕심을 낼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욕심을 내야 한다(Be fearful when others are greedy, and be greedy when others are fearful.).” 워런 버핏은 모두가 두려워하는 지점을 리스크가 줄어든 상태로 본 것이다.

 

 

- 100억 원은 거금이지만 일정한 소득을 손실 없이 만들려고 하면 생각보다 적은 돈이다. 반대로 말하면 나에게 230만 원의 정기적인 수입이 있다면 100억 원을 가진 자산가나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정기적이고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수입은 보통 그 액수의 100배 규모 자산의 힘과 같다. 그만큼 정기적인 자산은 높은 가치를 가진 고품질의 자산이다.

 

빨리 부자가 되는 유일한 방법은 빨리 부자가 되지 않으려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참으로 뼈를 치는 말입니다. 40이 넘어서야 이 말을 조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기합리화가 되지 않도록노력해야 겠습니다. 

 

- ‘모릅니다가 정답인 이유는, 미래는 과거 데이터의 틀 안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미래가 데이터에 합류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경제학자 존 갤브레이스(John Galbraith)세상에는모르는 사람모르는 것을 모르는두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말했다.

 

- 운은 절대로 반복되지 않는다. 단 한 번의 실수로 모든 것을 허물어버릴 수 있다. 자기 자만에 빠지는 순간, 개연성이 전혀 없는 일에 확신을 가지며 운을 실력이라 믿고 추측을 지식으로 생각한다. 모든 상황이 잘 풀릴 때는 운도 실력처럼 보이지만 운은 불규칙적이다. 따라서 나는 운이 좋은 사람이든, 나쁜 사람이든, 일정한 시간에 과하지 않게 정갈한 식사를 하라고 권한다.

 

- 갈릴레이는모든 운동은 상대적이며, 등속운동을 하는 관찰자에게는 동일 물리법칙이 적용된다는 상대성원리를 발표했다. 하지만 과학자들이빛의 속도는 항상 일정하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상대성원리는 도전을 받았다. 기차를 타고 가고 있는 경우, 상대방의 속도를 구하려면 모든 관찰자에게속도 덧셈 법칙이라는 물리법칙이 적용돼야 하지만 빛의 속도를 구할 때는속도 덧셈 법칙을 적용할 수 없다. 아인슈타인은 이런 모순성에 반하는특수 상대성이론 원리를 발표했다. 정지한 사람과 움직이는 사람의 시간이 다르게 흐른다는 것을 증명해낸 것이다.

 

- 그렇다. 누구라도 시간 많은 돈을 거느릴 만한 주인이 되지 못하면 결국 그 돈이 당신을 거느리게 될 것이다.

 

- 그런데 문제는 그 바구니 전체를 한 선반에 올려놓는 일이다.

 

- 반복해서 얘기하지만 가장 빨리 부자가 되는 방법은 천천히 부자가 되는 것이다.

 

- “가난은 낭만이나 겸손함이라는 단어로 덮어놓기엔 너무나도 무서운 일이다. 가난하게 태어난 건 죄가 아니지만 가난하게 죽는 것은 나의 잘못이다라고 빌 게이츠는 말했다.

 

- 백만장자까지는 누구나 노력으로 갈 수 있다. 성실하고 절제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빠르면 40, 늦어도 50대엔 백만장자로 살 수 있다. 가난이 생각보다 잔인하듯이 부자의 삶은 생각보다 훨씬 행복하다.

 

- 마지막으로 돈을 쓰는 능력은 고도의 정치기술과 같다. 검소하되 인색하면 안 된다.

 

- 부모의 포기를 자녀에게 물려주지 마라. 나는 범죄에 연루된 일이 아니라면 아이가 무엇을 하든 상관하지 않는다.

 

- 미국 콜롬비아 대학의 MBA과정에 참여한 CEO를 대상으로당신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조사를 한 결과 93%가 매너를 뽑았다. 매너는 교육이자, 습관이요,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자세다. 국제적 성공도 매너에서 시작된다.

 

- 흙수저는 금수저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금수저이기 때문에 갖고 있는 장점이 단점이 되기도 한다. 덩치가 큰 코끼리나 기린은 한번 주저앉으면 일어나기가 어렵다. 반면 여우는 그사이에 열 번도 더 뛰어다닐 수 있다. 차별적 변화를 찾아 빨리 움직이는 것은 약자만의 장점이다. 아무리 힘이 센 남자도 두 눈을 똑바로 뜨고 윗옷을 벗어던지며 달려드는 남자와 싸워 이길 수 없다. 생각을 바꿔보면 약자가 강자의 밥이 아니라 강자가 약자의 밥이다. 결국 강자는 이미 가지고 있기에 강자가 아니며, 강자가 되겠다고 마음먹은 사람이 강자인 것이다. 역사는 언제나 그렇게 흐른다.

 

- 노동이 투여되지 않고 생긴 고정적인 정기 수입이 자신의 진짜 수입이기 때문이다.

 

- 수입은 높지만 낮은 PER를 가진 직업이나 사업체를 가진 사람은 자신의 생활 수준을 바꿔야 한다. 이를 바꿔 적극적인 재산 이동을 통해 하루하루 자본이익을 만들어내야 한다. 당신의 수입은 진짜 수입이 아니었다.

 

- 사람들이 잘 모르는 사실이 있다. 작은 돈이 사람을 부자로 만들고 큰돈이 사람을 가난하게 만든다는 사실이다.

 

나는 많은 실패를 경험했고 지금도 여전히 실패를 하면서 산다. 이유는 여전히 도전하기 때문이다

 

-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내 자식들의 선조가 되어 돈에 대한 시각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 돈을 밝히면 돈이 주인이 되고, 돈에 밝으면 내가 주인이 된다. 돈에 밝기 위해서는 돈에 대해 치밀하게 공부하고 돈을 말하는데 어려움이나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 돈을 어려워하고 무서워하면 결코 돈의 주인이 될 수 없다. 돈은 무섭거나 더러운 것이 아니다. 돈은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다. 돈을 버는 방식이 좋거나 나쁠 뿐이다.

 

돈을 인격체로 소중하게 대하라라는 말도 인상적이지만, 김승호 회장님의 돈에 대한 냉정하면서도 겸손한 태도, 심플하고 정갈한 매너의 중요성, 그리고 자신의  PER 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는 말씀은 정말 깊이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습니다.

 

요즘은 전자책으로 보는게 편하여, 가지고 있는 책들을 다 정리하려 하는 중이었는데, 오랜만에 소장하고 싶은 책이었습니다.

 

모두 부자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