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man - Reading & Thought

백만장자의 아주 작은 성공 습관 (딘 그라지오시)

공삼일구 Overman 2022. 12. 21. 21:06
728x90

작가인 딘 그라지오시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이 책을 통해 그의 생각을 들여다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런 성공한 사람들의 생각을 보는 것은 참 궁금하기도 하지만, 어느 순간 좀 뻔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백만장자의 아주 작은 성공 습관] 이 책은 가볍지만 기억에 남는 구절이 있어 모두가 한번 보시고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백만장자의 아주 작은 성공 습관 커버

Positive Point

" 오직 포지티브 포인트에만 집중하면 안전할 거예요. 내가 가리키는 포지티브 포인트까지 가기 위해 모든 에너지와 집중력을 쏟아야 합니다.” 포지티브 포인트가 그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등이 되었고 그들은 장애물 (바위에 부딪히는 것) 이 아닌 해결책 (장애물이 없는 안전한 공간으로 향하는 것) 에만 집중했다.

 

저는 현실에 치이고, 잡생각이 많아지면 포지션을 잃을 때가 많습니다. 그렇게, 잡생각을 하고, 딴생각을 하다보면 당장 무슨일을 할까, 어떤 문제부터 해결할까? 하는 생각에 포지션 자체가 제 속에서 사라질 때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아예 Positive Point 에 대한 생각 자체를 하지 않고 살아온 것처럼, 저 구절이 너무나 기억에 많이 남습니다.

 

" 그 결과, 실제로 위험한 상황에 처할 확률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는 사실 말이 쉽지 실제 행동하기란 무척 어렵다. 그러나 자신이 원치 않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것에 집중하면 인생에서 아주 많은 것들을 바꿀 수 있다. 살면서 때때로 일이 잘못되었을 때 처음에 잠시 날카로운 바위를 쳐다봤다가도 곧바로 장애물을 피해 나아가야 할 곳인 포지티브 포인트를 찾게 될 것이다. 이 연습을 많이 할수록 인생에 어려움이 닥칠 때 당신은 안전한 곳만 바라보며 나아갈 수 있다. 나는 수년간 이 진실을 사람들에게 가르쳤다. 장애물이 아니라 목표에 집중할 때 당신의 인생은 예전과 달라져 있을 것이다."

 

참, 별 것 아닌 것 같은데. 참 맞는 말입니다.

 

목적 중심의 사고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많은 요즘, Positive Point  와 일맥 상통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목적 중심의 사고, 즉 데이터를 구성하거나 분석할 때, 한발 떨어져서 어떤 목적으로 분석을 해야 하는 지, 어떤 목적으로 이런 데이터가 필요할 지.. 매번 생각을 하면서도, 데이터만 보면 뭐라도 튀어나올 것 같아서, 이런 저런 고민을 하는데, Positive Point, 목적중심의 사고를 매일 매일 읽어 인이 박히도록 되새겨야겠다는 생각입니다. 

적극적으로 변화를 즐기려는 태도 (4C)

Courage (용기), Commitment (헌신), Capability (능력), Confidence (자신감) 

 

당신이 쏘지 않은 슛은 100% 놓친 골이다.

 

이런 류의 책에서는 늘 같은 말을 자주 보게 된다.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반성하며 노트해놓았던 구절을 남기며 마무리 합니다.

 

" 새로운 스토리가 하나든 여러 개이든 일단 새 스토리가 생기면 무의식 속에서 확실히 자리를 잡아야 한다. 몸을 만들기 위해 하루만 운동한다고 안 되듯이 새로운 스토리를 삶에 완전히 물들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반복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는 내가 개발한 훈련인 30일 도전을 활용해도 좋고, 아니면 자신만의 방식으로 매일 밤 자기 전에 30일 동안 스토리를 소리 내어 말하자. 잠자리에 들기 전 마지막으로 머릿속에 떠올리는 생각과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제일 먼저 생각하는 것이 새로 만든 스토리일 수 있도록 습관화하자. 적어도 한 달 이상은 일상에서 습관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자신감은 우리 내면에서 빛날 순간을 기다리는 영웅이다. 나는 전략을 알고도 이용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몸이 딱딱하게 굳을 정도로 지나치게 고민하는 학생들을 본 적이 있다. 왜 추진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걸까? 왜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는 길을 계속 걸어가지 못하는 걸까? 변화가 시작되는 것을 느끼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은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 이유가 자신감 부족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작은 변화라도 일어나면 그 전까지는 상상도 못한 정도로 자신감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얻는다. 자신감이 한번 차오르는 순간 막을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

 

"나는 오늘부터 당신이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나는 오늘 실패했다. 하지만 내일 또 다른 시도를 할 거야.” 나는 아이들에게 항상 물어본다. “오늘 실패를 경험했니?” 아이들이 “아니요.”라고 대답하면, “그럼, 똑같은 일상에서 벗어나지 않았구나.” 아니면 “새로운 것을 시도하지 않았구나.”라고 말한다. 아이들이 가진 실패에 대한 생각을 바꿀 수 있도록 노력한다. 그래서 아이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성공으로 가는 길에 거쳐야 할 과정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돕고자 한다."

 

“당신이 쏘지 않은 슛은 100퍼센트 놓친 골이다.” 실패를 성공으로 만들기 위한 필수 재료로 받아들이고 매일 실패하려고 노력하자.

 

" ‘두려운 돈은 돈을 벌어들이지 못한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

 

당신이 쏘지 않은 슛은 100% 놓친 골이다. 참 뼈때리는 말입니다. 

 

모두 화이팅!